메뉴 건너뛰기

RESEARCH AND DEVELOPMENT

R&D

조회 수 401 추천 수 0 댓글 0

r5.jpg

 

 

대한정신약물학회지 : 2권 제1 1991
Korean J Psychopharmacol vol 2, No 1

骨仁(Gollin)의 麻藥中毒治療外 數種의 治療效果
姜秉祚, 權載雨, 鄭泰浩
Therapeutic Effects of Gollin on Narcotic Addicts and Other Disorders
Byung-Jo Kang, M.D., Jae-Woo Kwon and Tai-Ho Chung, M.D.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review many articles about GOLLIN : a preparation of aconite and sulfur etc.,-used on narcotic addicts, alcohol dependence, CO intoxication and other disord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Gollin was found to be highly effective in reducing abstinence syndrome of narcotics and hangover syndrome of alcoholics, in recovering CO intoxication, in increasing appetite, and in treating constipation.

2) Above therapeutic effects of Gollin might be explained either with its enhancing capacity of blood clearance or tranquilizing effect-or both.

3) Gollin was not found to lead to addiction nor had any serious side effects except stomach discomfortness.

4) Gollin needs more studies to find new therapeutic areas and new mechanisms of action.

Key words : Narcotic addiction ·Alcohol dependence ·Aconitine ·Sulfur.

----------------------------------------------------------------------------------------

 

<      >

骨仁(Gollin)은 權載雨가 製造한 漢藥을 科學化한 複合製劑이다.(尹麒炳 1966)  骨仁은 毒性을 완전 무독화시킨 附子(aconitine-tuber 4mg) 미소량과 화학적 처리를 한 雲母(mica 20mg), 硫黃(sulfur-precipitatum 400mg) 및 珪酸鹽 등을 주성분으로 한 복합제제이다

附子는 옛날부터 한방에서 가열처리하여 强心劑, 利尿劑, 鎭痛劑 등으로 널리 사용되어 오고 있다. 동양의 한방은 물론 양의학계에서도 이에 대한 여러 가지 약리 작용이 규명되었으나 일반적으로 중추신경 및 심장이나 호흡기계통에 미치는 毒性 때문에 임상에서의 치료제로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지만 국소적인 진통 작용이나 심장에 대한 약리 작용은 비교적 일찍부터 인정되어 왔다.(Torald & Sollmann 1957)

附子의 화학 성분은 alkaloid aconitine을 위시하여 mesaconitine, hypaconitine, benzacontine, pyraconitine 등이 주성분이며, 이의 약리 작용은 치료량에서는 central vagus를 촉진하여 심장박동수가 늦어지나 다량에서는 전신적인 억제 작용, 심장박동의 불규칙 및 호흡과 심장의 마비로 有毒 作用이 있으며, 국소작용으로는 tingling sensation, numbness, anesthesia의 작용이 있다고 한다. 이외에도 생체에 미치는 附子의 작용으로는 적혈구, 백혈구 및 혈색소의 증가, 조직의 산소소비량 감소(李榮韶 1971), 심근내의 Kloss등이 있다.(金志演 1966)  

附子의 이러한 약리 작용을 이용해서 임상 역역에서 치료제로서 사용해 보려는 시도는 그의 강한 毒性 대문에 좌절되었으나 日本 大阪大學에서 附子의 無毒化 처리를 성공시킴으로써 치료제로써 附子가 사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인정되어 일본에서는 신진대사 촉진, 정력 증진, 강심, 이뇨, 진통의 목적으로서 이 제제를 시판(스트로발 錠)하기까지에 이르렀다.  

일찍부터 한국에서도 무독처리된 附子 등의 복합 제제인 骨仁이 마약 중독 환자, 주정 중독 환자, CO 중독 환자 등 몇 가지 질환의 치료에 유효하였다는 임상 및 동물 실험 성적이 발표된 바 있다.

또 이제제의 다른 명칭인 Bota-Mira가 미국에서 heroin cocaine 중독 환자의 치료에 특효가 있었다는 임상 시험 성적도 있어 지금까지 발표된 이 약제와 관련된 논문들을 전부 모아 그 약효, 부작용 및 약리 작용 등을 총정리 및 재고찰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麻藥中毒의 治療效果>

 

1. 人間을 대상으로 한 연구

金光日 등(1966)은 麻藥(heroin) 中毒者 78명을 3군 즉 Gollin 35, chlorpromazine 23, placebo 20명으로 나누어 임상실험을 하여 보았더니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고 하였다.

1) Gollin을 마약중독자의 금단증상 치료에 사용하여 본 결과 금단증상의 대부분이 쉽게 조절될 수 있었다.

2) Gollin군에서 타군보다 금단증상의 출현 기간이 현저히 짧고 그 정도도 경하였다.

3) Gollin군은 계속 수면 요법에 준하는 chlorpromazine과는 달리 수면은 정상적으로 취하면서도 금단증상의 전부가 쉽게 조절될 수 있었다.

4) 단기간 관찰한 결과로보면 부작용이나 습관성이 없는 것으로 인정되었으나 여기에 관해서는 앞으로 더 연구가 요망된다.

5) Gollin의 효과는 靜穩作用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1989 2 5일부터 3 5일가지 Askari Soiffer heroin(때때로 hashish) 중독환자 4명에게 Gollin의 다른 상품명인 Bota-Mira(NA-1700)를 투여하여 본 결과 이 약물 중독의 치료 및 금단증상의 치료에 있어서 덜 위험하고 더 효과적이라고 보고하였다. 부작용으로는 복부불편감, 악심, 구토와 설사가 있었다고 보고하였고 습관성은 없었다고 하였다.

한편 Whiten(1987) 4명의 "crack" cocaine과 한 명의 heroin 중독자를 대상으로 Bota-Mira의 치료 효과를 실험하여 본 결과 복부통증, 악심, 소변 증가, 가스 배출 증가, 성욕 증가 등의 부작용이 있었고, 약물 사용과 담배피우고 싶은 갈망이 소실되었다고 보고하였다. 그리고 그는 또한 이들 중독자들을 계속 follow up 하여 본 결과 약물을 사용하지 않고 재발이 없었다고 하였다.

Licht(1989) Bota-Mira의 인체에 대한 毒性 분석을 하여 본 결과, benzoate, sorbate, parabenes, RHT, RHa, TEHQ, Propyi Garate synthetic coioure 등 전부 "negative"로 나타났다고 보고한 바도 있다.

 

2. 동물을 대상으로 한 연구

鄭泰浩 등(1990)은 체중 20∼25g 정도의 ICR계 웅성마우스에 morphine 일정량을 정기적으로 주사하여(1 : 20mg/kg morphine HCI 1 1 2주간 피하주사, 2 : 40mg/kg morphine HCI 1 3 6주간 피하주사) morphine 중독을 일으키고, Gollin(200mg/kg 체중)을 경구 투여한 군과 비교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고 하였다. Gollin 투여군이 대조군인 morphine 단독투여군에 비해 naloxone 4mg/kg을 복강내 주사하여 측정한 도약반응(금단증상)에서 반응 발현 및 횟수를 현저히 억제하였다.

 

 

<酒精 中毒의 治療 效果>

 

1. 人間을 대상으로 한 연구

曹晧哲 등(1974) 20대 남자 40명과 40대 남자 20명을 임의로 placebo군과 실험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여 본 결과, 중추신경 계통과 소화기 계통에 미치는 숙취현상의 호전에 대해서는 Gollin이 대체로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고를 한 바 있다.

朱在煥과 秋慶鎬(1974a) Gollin이 인체에서 알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관찰키 위하여 3가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 1) 알콜중독자에 대한 치료 여부를 관찰하였다. 2) 과음 후에 오는 중독 증상에 대하여 Gollin 투여가 생체에 미치는 영향을 임상적인 면에서 추구하였다. 3) 異種의 酒類를 동일인에게 과음시켰을 때 약물 투여에 따른 효과를 관찰하였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고 하였다.

1) 적은 예이기는 하나, 소량의 음주를 허용케 하면서 알콜중독자 치료가 가능하였다.

2) 과음전 및 후에 Gollin을 투여함으로서 음주 후유증을 예방하는 데 효과가 있었다.

3) 2種 이상의 다른 종류의 酒類를 음주한 후에도 Gollin錠의 투여로 음주 후유증이 거의 소실되었다.

4) 장기간 Gollin정의 투여로 적은 인원에서 경미한 腹痛 등이 있으나, 수일 내로 소실되었으며, 부작용 여부는 의문시되고 있으며, 투약을 중지할 필요는 없었다.

 

2. 동물을 대상으로 한 연구

洪載奉 등(1974)은 체중 2kg 내외의 성숙한 家兎를 사용하여 骨仁을 酒精정주 前에 경구투여하여 혈중 酒精濃度를 측정하였다. 酒精은 50vol% ethanol을 체중 매 kg 0.5mg을 정주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보고하였다.

1)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의 혈중 주정농도가 주사후 10, 30분에 현저히 낮았다.

2) 실험군에서 10분에서의 주정대사가 30분에 비하여 더 촉진되었다

朱在煥과 秋慶鎬(1974b)도 체중 2kg 내외의 건강한 家兎에 99% ethanol kg 6cc cathether을 통하여 胃에 주입한 후, 骨仁錠을 주정투여 20분 전에 경구투약하는 실험을 하였다. 酒精투여군(대조군)과 骨仁투여군(실험군)으로 나누어 酒精투여후 20, 40분에 alcohol 혈중 농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실험군에서의 혈중 alcohol 농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혈중 alcohol이 농도가 낮았다.

2) 혈중 농도는 alcohol 투여후 20분보다 40분에서 농도가 더 현저하였다.

3) 骨仁錠은 alcohol 대사를 촉진시키는 약물로 인정할 수 있었다.

 

<CO 中毒의 治療 效果>

  尹德老(1976)는 중추신경계통에 鎭靜作用이있는 aconite 複合製劑(骨仁)와 호흡촉진제인 sodium succinate의 병행요법이 CO 中毒 治療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추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소견을 얻었다고 보고한 바 있다.

1) aconite 복합제제와 sodium succinate의 병행요법은 CO 中毒治療에 있어서 매우 有效的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2) aconite 복합제제는 주로 解毒作用 및 神經鎭靜劑로써 有效하였고, sodium succinate는 致死成績結果로 보아 CO의 자연배출로 인한 약리적 효과를 인정할 수 있었다.

 

<소화 불량 및 변비증의 治療 效果>

윤기병(1967)은 장기간에 걸친 소화 불량 환자 76명과 완고한 변비증환자 20명에게 骨仁錠을 투여하여 임상실험을 하여 본 결과, 좋은 치료 효과를 나타내었다고 보고하였다. 骨仁의 장기간(1∼2개월간) 투여에 의한 부작용으로서는 투여 환자의 약 3분지 1에서 경미한 복통과 gas 배출이 복용후 용변 직전에(변비시에 한함) 나타났고, 용변후에는 자연 완전 소실되는 증상이 7∼10일정도 나타난 후에는 소실되었다고 보고하였다.

 

<骨仁 투여로 인한 肝細胞 변화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李時炯(1975)은 附子劑(骨仁)의 麻藥中毒 및 酒精中毒 등의 治療機轉을 구명하고자, 체중 250gm 내외의 쥐를 사용하여 4시간 간격으로 0.2mg씩의 附子劑를 3회에 걸쳐 투여하여 肝細胞에 일어난 형태학적 검사를 전자현미경을 통해 관찰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한 바 있다.

1) 비교군에 비해 실험군의 간세포에서 酒精代謝를 촉진시키는 MEOS(microsomal ethanol oxidizing system) activity 증가를 시사하는 소견, rER(rough-surfaced endothelial reticulum)는 감소된 반면 ,sER (smooth-surfaced endoplasmic reticulum)의 현저한 증식이 있었다. 그리고 간세포 내에서의 secretory activity가 상승한 것을 시사하는 GERL(Golgi associated endoplasmic reticulum) Golgi complex의 증식도 현저하였으며, glycogen 과립의 감소는 위의 증식에 필요한 energy源으로서 소모된 것으로도 간주되어 藥物解毒의 력가가 전체적으로 보아서 상승된 특이 소견을 보였다.  

2) 세포 내의 小器官에 가벼운 退行性 變化를 시사하는 다음과 같은 소견들이 발견되었으나, 이것은 극히 경미한 변화로 간주되었다. ribosome의 파괴, rER fragmentation, mitochondria 내의 여러 가지 변화(cristae의 감소, 종창으로 인한 density의 감소, 전해질 장애에 따른 과립의 증가)들이었다.  

3) Lysosome도 약간 증가하여 위와 같은 小器官의 변성으로 인한 반응성 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간주되나 autophagic vacuole의 증가는 현저하지 않아서 seqeustration현상은 일어나지 않았다.

 

<      >

 

1. 麻藥中毒 治療에 관한 고찰

金光日 등(1966) heroin 中毒者들에게 骨仁을 투여시켰더니 骨仁群에서는 placebo群과 비교해서 월등한 효과를 볼 수 있었던 바, 금단증상이 평균 24시간 이내에 소실되고 그 정도도 극히 경하였을 뿐 아니라 대부분이 정상 생활을 하는 데 지장 없이 지냈다는 것은 놀라운 사실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또 이와 같은 결과는 骨仁이 우수한 靜穩 作用을 가지고 있음이 인정된다고 하였다.  

骨仁의 麻藥中毒治療機轉은 李時炯(1975)이 간세포에 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에서 밝혀졌듯이 靜穩 作用 외에도 藥物 解毒 作用에 의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酒精 및 麻藥 代謝를 촉진시키는 MEOS activity 증가를 시사하는 소견 즉, rER는 감소된 반면 sER는 현저한 증식이 있었고, GERL Golgi complex의 증식도 현저하였으며 glycogen 과립의 감소는 위의 증식에 필요한 energy源으로서 소모된 것으로 간주되어 藥物 解毒의 력가가 전체적으로 상승되어 나타났기 때문이다.  sER에는 비단 酒精 代謝뿐 아니고 여러 가지 즉 광범위한 약물의 解毒 作用이 관여하는 많은 효소들이 존재하고 있다. 그러므로 骨仁은 모든 약물 중독에 多少 차이는 있으나 解毒 作用이 유효하다고 볼 수 있다.  

金光日 등(1966)의 임상실험 결과와 마찬가지로 Askari Soiffer (1989) heroin 中毒者 4명에 대한 임상실험이나, Whiten(1989) cocaine heroin 중독자 5명에 대한 Bota -Mira (骨仁)의 임상실험에서도 모두 마약 중독 치료 및 금단증상의 치료에서 효과적이었다고 한 결과 보고도 骨仁의 藥物 解毒 作用 및 靜穩 作用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었다.

 

2. 酒精 中毒 治療에 관한 고찰

宿醉 및 酒精 中毒 治療에 有效한 藥이 되려면, 첫째 불순물을 포함한 알콜의 대사를 촉진시켜서 그 대사 산물을 빨리 체외로 배설시키든가, 아니면 둘째 이미 발현된 숙취 현상을 중추신경계의 靜穩 작용으로서 치료하든가, 셋째 위의 두 가지 작용 모두를 가지고 있는 제제라야 한다.  

曹鎬哲 등(1974)의 임상 연구 결과를 보면 骨仁錠이 음주 후 숙취 증상을 줄이거나 없애는 데는 유효라는 결론을 내리고 있으나, 그 작용 기전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즉 骨仁錠의 주성분인 附子와 硫黃 성분 모두가 중추신경 계통의 靜穩 작용이 있음은 보고되어 있으므로 문제의 유효성의 기전을 그런 방향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 같다고 하였다. 그러면서도 한편 骨仁은 음주 후 이미 생긴 숙취에 대해서는 별로 큰 效果는 없는 것으로 보아 알콜 대사를 어떤 기전에서든지 촉진시켜 주는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고 하였다

李時炯(1975)은 이 작용 기전을 밝히고자 마우스에게 骨仁을 투여하여 肝細胞에 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는 실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본 결과 骨仁이 肝細胞의 sER 증식을 통한 MEOS activity의 상승으로 인해 혈중 alcohol clearence rate가 촉진된 것으로 해석하는데 무리가 없다고 하였다.

 

3. CO 中毒 治療에 대한 고찰

尹德老(1976)는 骨仁(aconite 複合製劑) sodium succinate CO 中毒者에게 투여하여 본 결과 매우 유효한 치료 효과를 얻었다고 발표하면서 그 작용 기전으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Aconite tuber의 화학 성분은 alkaloid aconitine이 주성분이며 이의 약리 작용으로 중추신경 계통의 靜穩 作用을 들 수 있는데, 이것 때문에 痙攣消失(경련소실) 시간이 약물투여군에 있어 대조군에 비해 단축된 것으로 해석된다고 하였다. 致死率成績에 있어서도 대조군이 35%인데 비해 실험군은 25% 10%나 낮았으며 致死實驗成績에서도 50% 生存 時間이 연장된 것도 骨仁의 鎭靜 作用과 sodium succinate 투여로 인한 호흡 촉진으로 CO의 체외 배출이 촉진된 결과가 아닌가 추정된다고 하였다.  

이상에서 열거한 치료 효과 외에도 骨仁은 소화 불량이나 변비증 환자에서 우수한 치료 성적을 나타내었다는 윤기병(1967)의 보고가 있다.  이와 같이 骨仁은 精神病 治療 등 아직까지도 그 치료 효과를 실험하여 볼 영역이 무진장으로 많은 漢藥劑로서 동물이나 임상 실험을 통해서 그 치료 영역의 확대 및 또 다른 작용 기전 등의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

附子 및 硫黃 등의 複合製劑인 骨仁(Gollin, Bota-Mira)錠은 그간 여러 학자들에 의하여 동물 실험 및 임상 실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1) 麻藥中毒(morphine, heroin, cocaine )의 치료 및 금단 증상의 치료에 특효가 있다.

2) 宿醉 및 酒精 中毒의 호전에도 유효하였다.

3) CO 中毒을 회복시키는 데도 유효하였다.

4) 식욕 부진 및 변비증 치료에도 유효하였다.

5) 이상과 같은 치료 효과는 이 약의 靜穩 作用에 의한 것일 뿐 아니라, 特히 解毒 作用에 의한 것으로 인정된다. 모든 藥物 中毒에 多少의 차이는 있으나 解毒 作用이 有效할 것으로 思料된다.

6) 26년 간에 걸친 病院 臨床 實驗中 이 藥의 習慣性은 전혀 없었으며, 경미한 腹痛 등의 가벼운 副作用 외 별다른 副作用은 없었다. 정기 투약하면 자연 소실되므로 이는 부작용으로 인정할 수 없다.

7) 이상에서 열거한 치료 영역 이외에도 이 약이 유효할 영역이 많이 있다고 보며, 새로운 영역의 추구 및 더 많은 작용 기전을 밝히기 위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References

金光日·韓東洙·吳承煥·李基晃·韓弘武·明好鎭·韓東世·李定均·南命錫 :"Heil"(骨仁)에 依한 麻藥中毒者의 治療成績. 現代醫學 第5 4, 1966

金志演 : Tetracydine Aconitine의 相互拮抗性에 관하여. 전남의대잡지 2(2) : 183-193, 1966

尹麒炳 : 骨仁錠() 臨床綜合意見書. 未發刊, 1966

尹麒炳 : 骨仁錠의 消化不良 및 便秘症에 對한 臨床的 實驗. 未發刊, 1967

尹德老 : CO 中毒時 Aconite 複合製劑와 sodium succinate의 倂行療法에 關한 實驗的 硏究. 中央醫學 30(5) : 547-550, 1976

李時炯 : 附子劑 投與로 因한 肝細胞 變化에 關한 電子顯微鏡的 硏究. 中央醫學 28(5) : 507-515, 1975.

李榮韶 : 附子煎汁粉末이 實驗動物의 血液像, 42K 24Na의 섭취 및 甲狀腺機能에 미치는 영향. 대한수의학회지 11(2) :1-12, 1971
정태호·김정철·채성철·강병조·이인자 : 골인이 Morphine 중독 마우스의 금단 증상에 미치는 효과. 最新醫學 2月號. 1990

曺晧哲·朴宗漢·李時炯 : 附子 및 硫黃의 複合製劑가 宿醉에 미치는 臨床的 觀察. 中央醫學 27(3) : 239-242, 1974a

朱在煥·秋慶晧 : "骨仁" 投與가 酒精中毒者와 過飮酒者에 미치는 臨床的 觀察. 中央醫學 27(3) : 243-246, 1974b

洪載奉·李雄烈·朴宗漢·李時炯 : 附子 및 硫黃의 複合製劑가 家免血中 酒精濃度에 미치는 實驗的 硏究. 最新醫學 17(8) : 1121-1123, 1974

Askari D, Soiffer S : Clinical experiment report on Bota-Mira(NA-1700) in four patients, unpublished, 1989

Licht E : Analysis of Toxicological Elements in the product : Bota-Mira capsule, unpublished, 1989

Torald & Sollmann : Manual of pharmacology, 8th edition, Saunders Book Inc., N.Y., 1957, pp563

Whiten JT : Overview : Bota-Mira Efficacy Trials, unpublished, 1989

 


  1. 급성 알코올 중독 환자에서 골인산 경구 투여 후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량에 따른 알코올 해독 개선효과, 단기 투여 제4상 임상시험

    (주)바이오메디앙, 한양대학교병원 임상시험센터
    Date2018.03.17 Views448
    Read More
  2. 골인산 랫드(Rat)를 이용한 13주 경구반복투여 독성시험 및 4주 회복시험

    (주)바이오톡스텍
    Date2018.03.17 Views294
    Read More
  3. 골인산 랫드(Rat)를 이용한 경구단회투여 독성실험

    (주)바이오톡스텍
    Date2018.03.17 Views229
    Read More
  4. 마우스에 대한 골인(Gollin)의 경구투여 후 만성 및 급성 독성 실험

    경북대 의과대학 기초의학연구소 정태호
    Date2018.03.17 Views192
    Read More
  5. 골인환의 급성독성 연구

    중국심양약학원
    Date2018.03.17 Views279
    Read More
  6. 골인의 마약중독치료외 수종의 치료효과

    대한정신약물학회지 : 제2권 제1호 1991 Korean J Psychopharmacol vol 2, No 1 骨仁(Gollin)의 麻藥中毒治療外 數種의 治療效果 姜秉祚, 權載雨, 鄭泰浩 Therapeutic Effects of Gollin on Narcotic Addicts and Other Disorders Byung-Jo Kang, M.D., Jae-W...
    Date2018.03.17 Views401
    Read More
  7. 골인의 Morphine 중독 마우스의 금단증상에 미치는 효과

    最新醫學 Vol.34,No.2,1991 /85 "골인"이 Morphine중독 마우스의 금단 증상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기초의학연구소 정태호·김정철·채성철·강병조·이인자 ---------------------------------------------------------...
    Date2018.03.17 Views213
    Read More
  8. Analysis of toxicological elements in the product Bota-Mira capsule 미국 L.A메디컬센터

    Analysis of toxicological elements in the product Bota-Mira capsule 미국 L.A메디컬센터 E. Licht
    Date2018.03.17 Views157
    Read More
  9. Clinical experiment report on Bota-Mira(NA-1700) in four Patients.이스라엘 마약치료센터

    Clinical experiment report on Bota-Mira(NA-1700) in four Patients.이스라엘 마약치료센터 Askari. D. And S. Soiffer
    Date2018.03.17 Views186
    Read More
  10. 일산화탄소 중독시 Aconite복합제제가 Sodium Succinate의 병행요법에 관한 실험적 연구

    中央醫學 The Korean Central Journal of Medicine Vol. 30, No.5, May, 1976 CO 中毒時 Aconite 複合製劑와 Sodium Succinate의 倂行療法에 關한 實驗的 硏究 서울大學校 醫科大學 豫防醫學敎室 尹 德 老 -------------------------------------------------...
    Date2018.03.17 Views18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
SCROLL TOP